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파트

economy경제知

by 구르는K 2024. 1. 3. 19:43

본문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투자하는 경제 상품

아파트

서양에서는 본래 궁전이나 대저택 내에 별도로 마련된 손님용 방을 일컬었다.

 

아파트 apart는 아파트먼트 apartment의 약자다. 아파트먼트의 어원은 이탈리아어 동사 아파르테레 appartere. 프랑스를 거쳐 영어에 들어가 오늘날처럼 아파트먼트가 됐다.

 

본래 이 단어는 방문할 사람을 위해서 저택 내에 마련해둔 사적 용도의 방들을 가리켰다. 궁전이나 대저택 내에 마련된 별도의 방들이다. 궁전 내 왕자나 공주가 사는 곳이나 대저택 내에 귀한 손님을 위해 남겨둔 거처인 것이다.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 서양에 그대로 남아 있다. 프랑스에서 웬만큼 사는 집에는 혹시 찾아올 지도 모를 손님을 위해 비워 두는 한두 개의 방이 있다.

 

힌국 최초 아파트는 1932녀 충정로에 건립한 5층짜리 유림아파트로 왜놈들이 짓고 왜놈들에게 임대했다. 이후 혜화동에 4층짜리 목조아파트, 서대문에 풍전아파트, 적선동에 내자아파트 등이 세워지면서 아파트라는 단어가 널리 쓰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영어식 표현을 그대로 들여온 것이 아니라 미국식 영어 아파트먼트 하우스 apartment house'를 일본식으로 줄여 쓴 것이다.

 

요즘 우리 주변에 ‘00 캐슬’ ‘00 팰리스로 불리는 아파트들이 늘어나고 있다. 캐슬 castle은 성 , 팰리스 palace는 궁전을 의미한다.

한 가정집을 이렇게 말하는 것은 일종의 언어적 허영심이 아닐까?

[단어로 읽는 5분 세계사]에서 발췌, 갈무리

 

저자, 장한업 : 저자가 프랑스에서 한국에 돌아와 목격한 외국어와 외래어의 남용은 심각했다. 올바른 언어 사용을 중요하게 여기는 프랑스 문화와 비교하니 더욱 안타까웠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2002년부터 7년 간 600여 개 단어의 뿌리를 공부하여 각 어원이 가지고 있는 역사 이야기들을 밝히는 연구를 진행했다.

 

 

'economy경제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부성=외부 효과=외부 경제  (1) 2024.01.06
[경제용어知] 트리클다운 이론  (0) 2024.01.04
피셔 효과  (2) 2024.01.02
트리핀 딜레마  (0) 2024.01.02
기펜재 & 베블렌재  (1) 2024.01.02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