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나무 언니’로 알려진 캐시 우드 아크인 베스트먼트매니지먼트 최고경영자가 테슬라에 대한 전망을 내놓았다.올해1분기 테슬라의 이윤이24%급감했지만 주가는2000달러(액면 분할 전6000달러)까지 갈 거라고 밝혔다. 2년 전에도“테슬라는 성장주에서 가치주로 변할 것”, “앞으로5년 동안 실적이 뒤따라오면서5800달러(액면 분할 전)에 이를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테슬라 주가는160달러 내외에서 움직인다. 2천 달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지금 수준에서12배 정도 올라야 한다. 2년 전 우드CEO의 낙관론을 믿고 투자해 큰 손실이 났던 투자자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오히려 이번에 우드CEO의 낙관론을 믿고 투자하다가는 지옥에 추락해 염라대왕 앞으로 간다는‘테라대왕(테슬라+염라대왕)’이라는 용어까지 나올 정도다.
테슬라의 추락의 가장 큰 원인은 일론 마스크에게 있다.테슬라가 성장주로 매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S’자형 생장 곡선상 성장 탄력도(이윤 증가비율-기간 경과비율)가 계속 높아져야 한다.이 전제조건이 무너질 때 성장기에 놓여 있는 기업이라도 순식간에 성숙기를 거쳐 쇠퇴기가 도래한다.
기업이 성장 탄력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지프 슘페터가 강조한‘창조적 파괴 행위’를 지속해 나가야 한다.하지만 머스크는 기업 권력을 악용해 국가 권력에 도전하는 과정에서 바이든 정부로부터 테크래시(techlash=technology+backlash)와 반독점 규제 그리고 후발 전기차 업체의 부상 등으로 성장 탄력도가 급속히 약화하고 있다.
대거 중략
테슬라 성장을 위한‘일론 머스크’
머스크는 외부 불경제 행위로 일관해왔다.비트코인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실적 부풀리기,트위터 인수대금을 테슬라 주주에게 전가,세면대 사태로 비유되는 트위터 직원의 강제 해고 등이 대표적 예다.환경 보호,사회적 가치,지배 구조 등 이른바ESG경영도 소홀히 해왔다.개인적으로 도덕성 문제에 늘 중심에 서 있다.
궁여지책으로 머스크는 가격 할인 대책을 발표했다.지금까지 여섯 차례 발표했고 지난1분기 이윤이 급감하자 조만간 추가 할인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과연 우드 CEO처럼CEO 테슬라를 무조건 사랑하는 테블리(Tevery=Tesla+Lovery)의 희망대로 대박이 날 수 있을까를‘이윤 감소’라는 공동 현안에 감산으로 대처한 삼성전자와 비교해 보자.
기업의 최종 목표인 이윤이 감소할 때 이를 극복하는 대책으로 크게 두 가지가 있다.하나는 초기부터 매출액과 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위해‘가격’을 할인하는 방안이다.다른 하나는 초기에는 고통과 희생이 따르지만 갈수록 수급 여건이 개선되면 매출액과 점유율이 늘어나면서 이윤이 증가하는 수량 축소,즉 감산이다.
두 방안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전제는 가치주 평가와 마찬가지로‘시장 경제와 균형 이론이 얼마나 잘 작동되는가’ 여부다.양대 전제가 충족되지 못할 때 가격 할인을 추진하면 시장의 실패를 가져와 해당 기업에 이윤이 더 감소되는 자충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오히려 이때는 감산을 추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대책이다.
중략
기업의 위상도 중요하다.가격 할인을 테슬라처럼 선도 기업이 추진하면 경쟁 여건이 빠르게‘블루오션’에서‘레드오션’으로 변하면서 초기에 확보한 기득권마저 상실하게 된다.하지만 감산은 삼성전자처럼 선도 기업일수록 추진해야 수습 여건이 개선될 수 있고 가격이 오르면 해당 기업뿐만 아니라 모든 기업이 혜택을 보게 된다.
게임 이론을 통해 보면 더 명확해진다.요즘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 데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이 이론은 참가자별 이해득실(pay off)에 따라 분명하게 판가름 나는‘노이면-내시식 이기적 게임’과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샤프리-로스식 공생적 게임’으로 구분된다.전자는 고객보다 자기 자신의 이익만 추구하는 기업이 즐겨 써 왔던 게임 방식이다.
공생적 게임 이론은 시장 참여자들이 코로나19사태와 같은 사전에 전혀 예상하지 못한 꼬리 위험으로 위기에 처해 있을 때 모두가 이득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해결해 낼 수 있는 양식을 제공한다.이 이론의 가장 큰 의미는 외부 경제 효과다.외부 경제 효과는 사적 혜택보다 월등히 큰 사회적 혜택을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머스크 회장이 추진 초기 때부터 명확히 밝힌 것처럼 테슬라의 가격 할인은 다른 기업의 점유율을 빼앗는 이기적 게임이다.게임 결과(pay off)도 시장 전체 규모를 늘리지 못하고 시장 질서만 흐트러뜨리는 제로섬 게임이다.삼성전자의 감산은 이건희 전 회장의 의지대로 어려울 때일수록 참가자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공생적 게임이다.
기업 이윤은 매출액에서 각종 비용을 빼 산출한다.불확실한 시대에서는 기업 이윤에 대한 확신이 떨어지면 시장에서의 신뢰는 기하급수적으로 추락한다.가격 할인을 통한 포지티브 경영은 매출액이 증가할수록 불확실성 위험에 더 노출돼 기업 이윤에 대한 믿음이 떨어지게 된다.하지만 감산을 통해 각종 비용을 줄이는 네거티브 경영은 불확실성 위험 노출을 줄이면서 기업 이윤에 대한 믿음이 늘어나게 된다.
두 기업에 대한 앞날도 엇갈릴 수밖에 없다.
올해 테슬라의 실적은20%이상 감소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목표 주가도 대부분 하향 조정하는 가운데26달러까지 대폭 내려 잡는 기관까지 나왔다.반면 삼성전자의 주가는2년 만에‘8만 전자’에 도달하고‘10만 전자’도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기대가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댓글 영역